- 도서소개
- 목차
- 저자
-
책소개
1960년대 이후 2010년대까지,
생생한 일본 문학의 흐름을 총망라한 최초의 시도!
1980년대 버블 경제, 1990년대의 ‘잃어버린 20년’이라는 경기 침체, 2000년대 불평등 사회의 도래, 2010년대 동일본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급변하는 현대 일본 사회를 관통하는 다양한 시대 정신이 어떻게 문학 작품에 나타났는지 시대별로 살핌으로써 이 책은 동시대 문학의 존재 의미란 무엇인지 선명하게 보여준다.현대 일본 문학을 살펴야 할 이유!
2018년 출간된 사이토 미나코의 『동시대 일본 소설을 만나러 가다』는 1960년대 이후 2010년대까지 일본 사회의 다양한 변화에 맞춰 가장 최근의 일본 문학사를 정리할 필요성을 느껴 이 책을 집필했다고 밝혔다.
동시대 문학계를 정리할 이유를 저자는 『일본의 현대소설』을 쓴 나카무라 미쓰오의 말에서 찾는다. “동시대인의 판단에 입각한 역사는 사상누각과 같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다양한 현대사가 끊임없이 나오는 것은 우리들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의 성격을 알고 싶어 하는 강한 요구가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렇게 해서 나온 이 책은 독자와 동시대의 일본 문학에 대해 정리한 최초의 책으로 호평을 받았다.
문학 작품들로 촘촘하고 조밀하게 들여다본 일본 현대사 변화의 조감도이자 가이드북
이 책은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나누어져 있다. 한두 명의 작가나 작품이 아니라 등장하는 작가들만 400여 명이 넘고 작품 수도 약 300개가 넘게 소개되어 있다. 이를 통해 독자는 이 책에 소개된 작품들을 다 읽지 않았어도 당시 분위기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동시대를 객관적이면서도 저자만의 개성 넘치고 섬세한 렌즈로 비춤으로써 독자들 역시 시대 변화와 작품 경향성의 변화 등을 차분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사이토 미나코는 작품 중심으로 일본 문학사를 훑지 않는 이유를, 50년 사이 크게 변한 복잡다단한 현대의 작가들은 모두 각자의 개성이 있고 의미가 있기 때문에 작가들을 그룹 지어 문학사를 서술하는 방식이 맞지 않다고 보았다. 그래서 시대 변화에 맞추어 어떤 소설이 쓰였는지를 밝히는 게 더 나은 서술 방식이라 생각해 이 책을 쓴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문학이 동시대의 ‘어떤 점’에 주목했는지를 보여주고, 문학이 시대를 생각하는 바를 통해 독자가 자신을 뒤돌아보게 만든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 독자에 주는 시사점은?
버블 경제로 인한 사회 변화, 블랙 기업, 노동 문제, 여성 이슈, 노인 간병 문제, 가정 해체 문제 등등 이 책에서 저자가 시기별로 꺼내든 사회 문제는 너무나 한국의 현실과 맞닿아 있다. 이렇듯 이웃 나라 일본과 사회, 경제, 문화적으로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으며 비슷한 경험을 하는 한국의 독자에게 이 책은 일본의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한국에 사는 나의 이야기가 되기도 한다.
일본 문학의 시대별 흐름 분석에 대해 읽으며, 우리 문학과 또 우리 자신에 대해 생각할 계기가 마련된다면 한국의 독자에게도 유의미한 독서 경험이 될 것이다. -
목차
들어가며
1장. 1960년대 지식인의 추락
2장. 1970년대 기록문학의 시대
3장. 1980년대 유원지로 변하는 순문학
4장. 1990년대 여성작가의 대두
5장. 2000년대 전쟁과 격차(불평등)사회
6장. 2010년대 디스토피아를 넘어서
후기
부록-이 책에 등장하는 주요 작가
주요 참고문헌
옮긴이 후기 -
저자
저자 : 사이토 미나코
1956년 니가타현에서 태어났다. 아동서 등의 편집자를 지냈으며, 현재 문예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임신 소설』 『홍일점론』 『문장독본 씨에게』(제1회 고바야시 히데오상 수상) 『문단 아이돌론』 『모던걸론』 『전시하의 레시피』 『관혼상제의 비밀』 『문고 해설 원더랜드』 『명작 거꾸로 읽기』 『일본 침몰』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진짜 정치 이야기』 외 다수 있다.
역자 : 김정희
일본 도쿄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는 경기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전공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일본문화의 연속성과 변화』(보고사, 2018), 공저로는 『처음 읽는 겐지 이야기』(가초샤, 2020), 역서로 『메이지 유신』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인식과 그 표상-지식으로서의 모노노케」(『일본연구』 80,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6) 등 다수가 있다.